LERICI
Master-piece
마스터피스
마스터피스
Master-piece

The word “masterpiece” originates in in the field of crafts. In the medieval guilds, where many craftsmen and apprentices gathered to produce craftworks, the word “master-piece” was used to distinguish the works made by the master of the guild. The master was a craftsman with much accumulated experience and skill. What really distinguishes the ordinary artisan from the master? I believe that a fundamental difference in perspective separates the two. It is a small but distinct difference that creates a masterpiece and furthermore develops the ideas and trends of an era.

Modern Danish design gave birth to the movement called Mid-Century Modern. At the starting point is Hans J. Wegner (1914-2007). He was a designer who carried on the innovation of the Bauhaus and a master craftsman who worked as a carpenter. That famous piece of furniture known as 『The Chair』 is Wegner’s creation. His masterpiece is considered to be the perfect connecting piece in the logic of modern industrial design, based on the craftsmanship that followed the past apprenticeship system of handcraft. 

Wegner’s philosophy extends beyond the field of wooden furniture. He led the global trends of his time, and has been enlightening many craftsmen to this day. Wegner als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foundation of Atelier Lerici. Perhaps he will bring important insight to your field also. He is not just an artisan working with wood but a philosopher and master who continues to work on a task that can “never be completed” through endless refining.

 

 

걸작을 뜻하는 마스터피스Master-piece란, 공예에서 나온 말입니다. 많은 장인과 도제들이 모여 공예품을 생산하던 길드에서, 길드의 '마스터'가 직접 만든 공예품을 구분하기 위해 나온 말이죠. 마스터 역시 오랜 경력과 솜씨를 갖추고 있는 한 사람의 장인입니다. 과연 무엇이 장인artisan과 마스터master를 구분 짓는 걸까요? 나는 근원적인 차이가 이 둘을 가른다고 생각합니다. 작지만 분명한 관점의 차이가 마스터피스를 만들고, 나아가 한 시대의 사조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모던 덴마크 디자인은 '미드 센추리 모던'이라는 한 시대 사조를 만들었습니다. 그 시작점에 마스터 한스 베그너Hans J. Wegner (1914-2007)가 있습니다. 그는 바우하우스의 혁신을 이어받은 디자이너이자, 직접 목수 일을 했던 장인이었죠. 저 유명한 『The chair』가 바로 베그너의 작품입니다. 그의 마스터피스는 과거 도제식 수공예에서 이어진 장인 정신을 바탕으로, 현대 산업디자인의 논리를 완벽하게 연결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베그너의 철학은 단순히 목공 가구의 영역에만 머물지 않습니다. 그만의 관점이 당대에는 세계적인 사조를 이끌었고, 지금까지도 많은 장인들에게 계명으로 남아 있어요. 그의 생각과 그의 작업은 아뜰리에 레리치의 시작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어쩌면 여러분의 분야도 중요한 인사이트를 가져다줄지 모릅니다. 그는 단순한 목공 장인이 아니라, 끝없는 정제를 통해 '절대 완성되지 않을' 과업을 이어간 철학자이자 마스터였기 때문입니다. 

 

 

Hans Wegner at the age of 14 (third from the left) during an apprenticeship with H.F. Stahlberg in Denmark (1928) ©
"A chair is to have no backside; it should be beautiful from all angles."

Wagner says that a craft item should not have a backside. This means it should be beautiful when seen from any angle. To choose a beautiful chair, he tells us to turn the chair upside down and look at the bottom. This means that you can trust a chair that has been made with care right down to the parts that are usually unseen. This is why a work made by a master craftsman is different. Wegner knew that quality was determined by the parts that people do not notice and the small details that they easily overlook. 

This is the age of production, and everyone is concerned only with the logic of production. Achieving and expressing something in an invisible part may be nonsense in this regard. However, craftworks are different from manufactured goods. All parts of a craftwork must be made with consistency. Invisible parts and parts that can only be seen by turning the object upside down must have the same degree of finish. The viewer should not feel that the front and back, top and bottom are any different. There is no beginning or end to the design, so it should have the same feel when seen from any direction.

This view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Lerici’s tailoring. There are a lot of such “backsides” on clothing. All the small and minor details such as the inside of the collar, the fold at the end of the sleeve, the way ornamental buttons work, or the back of the pockets are all backsides. Giving the same level of finish to these invisible backsides and important parts like the lapels and shoulders means a dramatic increase in production time. However, if a garment is made as it were an art object, then these backsides are not small and trivial at all. 

 

 

​"A chair is to have no backside; it should be beautiful from all angles."

"의자에 뒤쪽이 있어서는 안 된다"

베그너는 공예품에 뒷면이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합니다. 어디에서 보아도 아름다워야 한다는 것이죠. 그는 좋은 의자를 고르려면 의자를 뒤집어 밑을 보라고 했습니다. 평소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공을 들여 완성한 의자라면 믿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마스터의 공예품이 다른 이유는 이런 차이입니다. 사람들이 눈치챌 수 없는 부분, 쉽게 지나치는 작은 부분에서 품질은 갈린다는 것을 그는 알고 있었죠.

지금은 생산의 시대고, 모두가 생산의 논리로만 생각합니다. 보이지 않는 부분에 뭔가를 달성하고 표현한다는 건, 생산 논리에서는 넌센스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예품은 생산품과 다릅니다. 공예품은 모든 부분이 일관성 있게 완성되어야 합니다. 보이지 않는 부분도, 굳이 뒤집어 봐야 확인할 수 있는 부분도, 같은 완성도를 지녀야 합니다. 그래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앞과 뒤, 윗면과 바닥면이 느껴지지 않아야 합니다. 디자인의 시작과 끝이 없어서, 어떤 방향에서 봐도 동일한 분위기가 나야 합니다.

이런 시각은 레리치 테일러링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옷에는 이런 '뒷면'이 참 많거든요. 옷깃의 안쪽, 소매 끝의 접히는 부분, 장식으로 사용되는 단추가 동작하는 방식, 주머니 깃의 뒷면이나 끝부분처럼, 작고 사소한 디테일들은 모두 '뒷면'입니다. 아무도 보지 않는 이런 뒷면의 완성도를 어깨나 라펠 같은 중요한 부분의 완성도와 동일하게 맞춘다는 건, 생산 시간이 비약적으로 늘어남을 뜻하죠. 하지만 옷을 하나의 오브제로서 제작한다면, 이런 '뒷면'들은 전혀 작고 사소하지 않습니다.

"A chair is only finished when someone sits in it."

These words were a very powerful maxim in furniture design at the time. Wegner made it clear that the purpose of a design is determined by the user and emphasized the need for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esign. In fact, his Round Chair became famous in 1960 through a televised debate between the U.S. presidential candidates Nixon and Kennedy. Wegner designed more than 500 chairs in his lifetime, but each chair was only finished when someone sat there. 

When applied to tailoring, Wegner’s maxim is somewhat new. This is because the most important premise of a bespoke garment is “to make it to fit the person.” But is that really how it is done? Today, tailors take measurements and produce a wide range of clothes but seem surprisingly reluctant to make the garments fit the wearer’s body. They place the fabric on a flat surface and join the pieces in straight lines with a sewing machine. It’s because of the logic of production. Working in straight lines is faster and easier. Clothes made this way may look good in pictures but when you actually put them on, they become stiff, as if they were a suit of armor. 

Bespoke tailoring is not about making a cylindrical box but forming a torso.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fit is different. Fit does not mean pinching in the waist to make you look slim. A good suit requires the fabric to flow along the contours of the man’s sturdy physique. To make flat fabric flow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human body, it must be carefully shaped with sewing. This is the role of needlework. Why do craftsmen sew with the garment on their knees or using a mezzaluna (crescent-shaped wooden frame)? It’s because the clothes must bend according to the curves of the body.

 

 

"A chair is only finished when someone sits in it."

"의자는 누군가 앉았을 때에야 비로소 완성된다"

이 이야기는 당시 가구 디자인에서는 굉장히 강력한 격언이었습니다. 베그너는 디자인의 목적이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밝히고, 사용자와 디자인 사이에서 상호작용이 일어나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그의 라운드체어는 1960년, 닉슨과 케네디의 대선후보 TV 토론회를 통해 유명해졌습니다. 베그너는 평생 500여개의 의자를 디자인 했지만, 그의 의자가 완성된 것은 누군가 거기에 앉는 순간이었죠.

이 격언은 테일러링에서 조금 새삼스러운 이야기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비스포크의 가장 중요한 명제가 바로 "사람에게 맞춘다"는 것이니까요.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오늘날 테일러들은 정해진 대로 치수를 재고 다양한 옷을 제작하지만, 의외로 사용자의 몸에 맞추는 것에는 소극적으로 보입니다. 그들은 평면의 원단을 대고, 직선만을 가진 재봉틀로 이어 붙입니다. 생산의 논리 때문입니다. 직선 작업은 빠르고, 생산은 쉬워집니다. 이런 옷은 평면의 사진에서 유려해 보이지만, 실제로 입어보면 마치 갑옷틀을 두른 것처럼 뻣뻣한 옷이 되죠.

비스포크는 원통의 박스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토르소를 빚는 작업입니다. 다시 말하면, '핏fit'의 개념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허리를 집어서 슬림하게 보이는 것이 핏은 아닙니다. 좋은 수트란, 남성의 우람한 육체의 곡면을 따라 원단이 같이 흘러야 합니다. 평면의 원단을 인체의 곡면에 따라 흐르게 만들려면, 바느질로 원단을 촘촘하게 돌려세워야 합니다. 이것이 바느질의 역할입니다. 장인들이 굳이 무릎이나 메짜루나Mezza luna (반달 모양의 나무틀)에 올려놓고 바느질을 하는 이유가 뭘까요? 옷이 몸의 곡선에 맞게 입체적으로 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first presidential debate in 1960
"The use of materials was clear and lucid, the fervor of the makers was evident in the craftsmanship, and the idea underlying the composition was clear and consistent."

Wegner said he could identify any chair he had designed just by looking at the parts. The theme of any one design is consistently applied to even the smallest parts. In this regard, he once said,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subject and apply it to all the parts.” This means there is a clear connection between the theme and the details.

A craftwork is not just a beautiful work of art. It contains a logical structure. There must be a reason fo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item, the way it is made and the details. The designer must be able to explain it all. When it is hard to explain why such a material was chosen and why it was made a certain way, the design in question is not a proper design. This is probably the issue that troubles all craftsmen until the end.

Clothes also have a logical structure. This is a different matter from style. For example, historically there have been a great variety of styles in which the shoulder line can be made. A single style may involve various techniques, and even with the same style, the way it is applied varies from one part to another. Delving deeper into this matter, you will come to understand that the order and direction of sewing has a logic and unseen purpose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lso a logical order in sewing. Making clothes is not just the process of sewing pattern pieces together. Depending on the shape of each pattern piece, a certain type of sewing has to be used, and everything logically changes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the rhythm of the design. So we interview the wearer, take measurements, and make the pattern, keeping in mind that everything in the making process is connected. If these logical steps are ignored and omitted for the sake of production efficiency, subtle nuances will cause an irreversible emptiness in the finished product. 

 

 

"The use of materials was clear and lucid, the fervour of the makers was evident in the craftsmanship, and the idea underlying the composition was clear and consistent."

"재료의 사용은 명료하고, 열정은 장인정신에 근거해야 하며, 구성의 논리는 명확하고 일관되어야 한다"

​베그너는 자신이 설계하고 만든 의자의 부품만 보아도, 그것이 어느 의자의 것인지 알아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 한 디자인의 고유한 주제가 작은 부품 하나까지 일관되게 적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는 여기에 대해, "주제를 밝히고, 그것을 모든 부분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주제와 디테일 사이에 명확한 연관관계가 있다는 것이죠.

공예는 그저 아름답기만 한 예술이 아닙니다. 여기에는 논리적인 구조가 존재합니다. 공예품의 전체 구조와 만들기 방식, 디테일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어야 하며, 디자이너는 그것을 모두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왜 그런 소재를 선택했는지, 왜 그렇게 만들었는지를 설명할 수 없는 디자인은 제대로 된 디자인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아마 모든 공예가들을 끝까지 괴롭히는 문제가 바로 이 내용일 겁니다.

옷에도 구성의 논리구조가 있습니다. 이는 스타일과는 또 다른 문제죠. 예를 들어, 어깨선을 연결하는 방법은 역사적으로 매우 다양한 스타일이 존재합니다. 한 스타일에도 다양한 공법이 존재하고, 같은 스타일이어도 부위마다 구현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이 문제를 좀 더 깊게 파고 들어가면, 바느질의 순서와 방향에도 오랫동안 발전한 논리와, 눈에 보이지 않는 목적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됩니다.

​바느질에도 논리적인 순서가 있습니다. 단순히 재단한 패턴을 꿰매서 이어 붙이는 것이 옷은 아닙니다. 패턴의 모양에 따라 필요한 바느질이 있고, 기능에 의해, 디자인의 리듬에 따라 모든 것이 논리적으로 변합니다. 그래서 인터뷰를 하고, 치수를 재고, 패턴을 만들고, 메이킹을 하는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제작 효율을 위해 이런 논리적인 순서를 생략하고 무시하면, 최종적인 완성품의 미묘한 뉘앙스에서 돌이킬 수 없는 공백이 생기게 됩니다.

Chair JH503, The Round Chair, 1950. Design Hans J. Wegner ©
"The chair does not exist. The good chair is a task one is never completely done with."

This is what Wegner said when he released his famous Wishbone Chair in 1949. Although critics praised it as close to the perfect chair, that is how he responded. Wegner went on to say, “I wanted to completely dismantle the style of the old chair and have the chair reveal itself purely as structure.” The following year, Wegner designed The Chair, which is called the most beautiful chair in the world to this day.

I believe Wegner was a master who was technically and philosophically close to perfection. But he never stopped exploring possibilities. It is hard to say that this was simply the expression of humility. Later, when people asked Wegner how he had given rise to modern Danish design, he answered that “It was a continuous process of purification.” By this perhaps he means technically “refining,” but I would like to think of it more as religious “purification.”

In an age of abundance, paradoxically we are inundated by low-quality goods. Greedily we consume resources, repeatedly spending and throwing away. In this age, Wegner talks about the attitudes and roles we should adopt. Now, how should craftwork be carried out? Where are we really going? We don’t know the answer yet, but we hope to draw close to another case of perfection someday. Like Wegner’s beautiful masterpiece. 

 

 

"The chair does not exist. The good chair is a task one is never completely done with."

"완벽한 의자란 존재하지 않는다. 좋은 의자란 절대 달성할 수 없는 과업이다"

1949년, 그 유명한 Wishbone Chair 를 발표하면서 베그너가 했던 말입니다. 당시 비평가들은 완벽에 가까운 의자라며 극찬했지만, 거기에 이런 답변을 했죠. 그러면서 베그너는 "오랜 의자의 스타일을 완전히 해체하고, 순수한 구조만으로 의자 스스로를 드러내도록 하고 싶었다"고 밝혔습니다. 다음 해, 베그너는 오늘날까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의자로 회자되는 바로 '그 의자'를 디자인하죠.

베그너는 기술적으로도, 철학적으로도 완성에 가까운 마스터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그는 끝없는 탐구를 중단하는 법이 없었습니다. 단순하게 이를 겸손함의 표현이라고 말하기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훗날 사람들이 베그너에게 어떻게 모던 대니쉬 디자인을 이룩할 수 있었는지를 물었을 때, 베그너는 이렇게 답했거든요. "it was rather a continuous process of purification." 아마 기술적으로 '정제'라는 뜻이겠지만, 그보다는 좀 더 종교적인 느낌의 '정화'로 번역하고 싶네요.

모든 것이 풍족한 시대에, 역설적으로 우리는 저품질의 범람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탐욕스럽게 자원을 소모하며, 쓰고 버리기를 반복할 뿐이죠. 이런 시대에 베그너는 어떤 태도와 역할을 이야기합니다. 자, 공예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 걸까요? 과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 걸까요? 아직 우리는 그 답을 알 수 없지만, 언젠가 또 다른 완벽함에 가까이 가보고 싶습니다. 베그너의 저 아름다운 '마스터 피스'처럼요.

 

  • ENGENG
  • KORK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