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RICI
Richter’s Pianissimo
리흐테르의 피아니시모
리흐테르의 피아니시모
Richter’s Pianissimo

Probably everyone has memories of pressing on the piano keyboard at least once. The piano makes the same sound no matter who presses on it. This makes you believe that you will be able to play the tune you want with some flair if you simply memorize the order of the keys to be played. However, among musicians even the piano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difficult instruments to play.   

That the piano makes the same sound no matter who presses on it means that it is difficult to play the piano in a distinctive way. Consequently, pianists must put great effort into creating their own sound. They must produce that slight difference that is so difficult to express, and the process of achieving this feat is unspeakably arduous and time consuming. For example, musicians such as Krystian Zimerman are so obsessed with this point that they make their own piano hammers. It is said that he disassembles his own piano and takes it on the plane with him whenever he goes on tour. 

Sviatoslav Richter, one of the greatest pianists of the 20th century, had left a great mark in this regard. He is a craftsman who pursued symmetry and silence, and the most extreme pianissimo throughout his life. Among these things, he once said that there can be no more ravishing effect made with the piano than an extreme pianissimo. Indeed, his touch is like someone “pressing the keyboard in a place without air.” Just by listening to the first note, you can tell that it is Richter who is playing. 

 

한 번쯤 피아노 건반을 눌러본 기억이 있을 겁니다. 피아노는 누가 눌러도 같은 소리가 나죠. 누르는 순서를 외운다면, 마치 게임을 하듯 금방 원하는 곡을 어느 정도 연주해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바이올린은 생각만 해도 많은 시간을 쏟아야 할 것 같은데, 그에 비하면 피아노는 굉장히 쉽게 느껴져요. 하지만 음악가들 사이에서 피아노는 가장 어려운 악기 중 하나로 꼽힙니다.

누가 눌러도 비슷한 소리가 난다는 것은 그만큼 차별화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연주자들은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자신만의 음색을 만들기 위해 많은 공을 들입니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작은 차이를 만들어야 하는 일이라, 이 과정은 말로 할 수 없을 만큼 고되고 시간이 걸리는 일이죠. 예를 들어, 지메르만Krystian Zimerman 같은 연주자들은 직접 타현망치를 깎아 쓸 정도로 여기에 집착합니다. 공연마다 자신의 피아노를 분해해서 비행기에 싣고 다닌다고 하죠.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피아니스트로 꼽히는 리흐테르Sviatoslav Richter는 그런 점에서 깊은 인상을 남긴 인물입니다. 리흐테르는 대칭과 침묵, 그리고 극단의 피아니시모pianissimo를 평생 추구한 장인입니다. 그는 극단의 피아니시모야말로 피아노로 낼 수 있는 효과 중에 가장 매력적인 것이라고 말했죠. 정말로 그의 터치는 "공기가 없는 곳에서 건반을 누르는 것 같은 느낌" 이 들어요. 첫 음만 들어도 그의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instrument, it is difficult to play the piano very softly, which is what pianissimo means. While supporting the body with strong abdominal muscles and lower body muscles, one must touch the keyboard extremely softly. 『Notebooks and Conversations (2002)』, written by the filmmaker Bruno Monsaingeon based on interviews with Richter and the contents of his diaries, notes that world’s greatest pianist never skips a day of practice. Even after gaining worldwide recognition, it took Richter decades to achieve a tone that satisfied him. For this great maestro also, it was a huge challenge to create “my own sound.”

Anyone who studies something for a long time, there comes a moment when they recognize small differences that were not apparent before. The mindset one adopts at that “moment” separates the skilled workers from the artisan. Some people strongly desire to reach a certain level by overcoming that small difference, while others just continue to repeat what they have become skilled at doing. However, doing something for a long time does not naturally make everyone an artisan. 

A particularly gifted artisan is by nature very serious about their work. People with this kind of character encounter countless “moments” of realization while independently working on their craft. By actively observing and making new discoveries, they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small differences that are not easy to detect and the whole and also develop their own rhythm to restrain expression according to material, functionality, and design. It is only when one constantly discovers and improves “something of your own” in the process that one is recognized as having “the spirit of an artisan.” 

Certainly, it is not easy to make “something of your own.” It would be rather embarrassing to hastily conclude that you have that artisan spirit after working hard for several years and mastering the necessary skills. The artisan spirit is not about skills or technique. It is more like the mental strength to live with determination over a long time. Rather than the inertia of sitting at the piano every day without exception, it would be better to focus on the lasting passion and desire that makes the elderly maestro do so.      

 

 

피아노의 특성상, '매우 여리게 치기pianissimo'는 굉장히 어렵습니다. 강한 복근과 하체의 근육으로 몸을 지탱하면서, 건반의 터치만큼은 극적으로 부드러워야 하죠. 브뤼노 몽생종Bruno Monsaingeon이 기록한 회고담 『Notebooks and Conversations (2002) 에는, 세계 최고의 피아니스트였던 리흐테르가 연습을 하루도 거르지 않았다는 기록이 나옵니다. 모두에게 인정받은 후에도, 스스로 만족할 만한 음색을 얻기까지 수십 년이 더 걸렸다고 해요. 그만한 거장에게조차 ‘나만의 소리’를 만들어 내기가 그렇게나 어려웠던 것이죠.

누구든 하나를 오랫동안 배우면, 잘 보이지 않던 어떤 작은 차이들을 인지하는 '순간'이 생깁니다. 이때 가지는 마음가짐이 단순한 숙련공과 장인을 나누는 시작점이 된다고 나는 생각합니다. 그 작은 차이를 극복하고 성취함으로써 어떤 수준에 도달하고자 하는 강력한 열망을 갖는 사람이 있고, 그저 숙련된 상태로 단순 반복을 지속하는 사람도 있어요. 오랜 시간을 해왔다고 해서 누구나 자연스레 장인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남다른 장인에게는 무엇보다 자기 작업에 진심으로 임하는 성품이 있습니다. 이런 성품을 가진 사람들은 주체적으로 작업에 임하면서 무수한 '순간'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적극적으로 관찰하고 발견하면서, 쉽게 드러나지 않는 작은 차이들과 전체의 연관성을 이해하게 되며, 소재와 기능성 그리고 디자인을 고려해 표현을 절제할 수 있는 자신만의 리듬 또한 발전시키게 되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자신만의 그 무엇’을 끊임없이 발견하고 개선할 때, 비로소 '장인정신을 가지고 있다'는 인정을 받는 것입니다.

물론 '자신만의 그 무엇'을 획득한다는 건 쉽지 않습니다. 몇 년 노력해서 뛰어난 기술을 숙달했다고 성급하게 장인정신을 말해서는 좀 민망합니다. 장인정신은 기술이 아닙니다. 누구와도 같지 않은 나만의 다름을 완성해내기 위해, 수 십 년 이상의 세월을 각오하고 살아내는 정신력에 가깝죠. 매일 하루도 거르지 않고 피아노에 앉는 관성보다, 그 노년의 거장으로 하여금 매일 피아노 앞에 앉게 했던 질긴 열정과 열망에 더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 ENGENG
  • KORK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