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RICI

구불구불한 선들이 위태롭게 허공에 흔들리고 있습니다. 언뜻 물줄기처럼 수직으로 떨어지는 것 같다가도, 가만히 들여다보면 저마다의 힘으로 자유로운 궤적을 그리며 떠 있음을 눈치챌 수 있습니다. 저 자유는 합의에 의한 것입니다. 중력이 모든 것을 지배하기엔 그들이 너무 가벼운 탓입니다. 한데 꼬여 실을 이루는 원사들의 응력이 제 무게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렌즈 경통을 조금 돌렸을 뿐인데, 세계는 이렇게나 달라집니다. 초점거리가 짧아지면 더 많은 빛들이 산란합니다. 살갗으론 느낄 수 없는, 꾹 참아낸 날숨보다 더 느린 공기에도 이 탯줄은 격동합니다. 우리 중 가장 민감한 몇몇만이 잠깐 숨을 멈추는 것으로 그 변화를 알아챌 수 있을 것입니다. 사진은 밀리초 수준에서 그들의 세계를 정지시켜 드러내지만, 지난 며칠 동안 저 작은 세계에서는 몇 세대가 흘러갔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미세하게 변화하는 현상들을 제때 제대로 지각할 수 있다면, 사유와 감정을 보다 풍성하게 할 수 있음을 떠올려 봅니다. 결국 감정이란 다른 세계를 기꺼이 들여다 봐주려는 너그럽고 능동적인 태도에서 비롯되는 것 같습니다. 햇빛처럼 그저 때 되면 쏟아지는 감흥 같은 건 없습니다. 행위에 즉각적으로 이어지는 쾌감이 가치가 없다는 뜻은 아니지만, 나는 조금 다른 방식의 풍요로움을 추구합니다. 포슬포슬하고 도톰한 코트의 끝자락과, 그 안에서 구조를 지탱하고 있던 흰 시침실, 그 늘어짐과 고유의 힘, 날선 금속제 포디움의 서늘한 모서리 광택, 사진 바깥에서부터 날아온 여러 갈래의 빛이 깨끗한 벽에 만들어 낸 그림자의 중첩. 누군가에게는 그저 재현된 현실의 단편에 불과할 수 있겠습니다. 지금 당장 옷장에서 꺼낼 수도 있는 코트 한 자락에 대체 어떤 의미가 더 담길 수 있단 말입니까. 고정된 상징과 확대한 의미를 간편하게 나열하는 전시에 익숙한 관람자라면 흔히 할 법한 불평입니다. 이를테면, 여기에 걸린 레리치의 옷이 역사적으로 형성된 고전적 기법으로 완성되었다는 사실과, 그 공예적 보존 가치에 대해서는 더 이상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예술성이나 아름다움을 느끼는 감정이란 오롯이 개인적 특성의 영역에 있습니까? 

김대철의 작업에서 보편적이고 적확한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것은 분명 중요한 과제입니다. 따라서 재료의 선정과 가공, 세부사항을 결정함에 있어 내포된 진정성이 신중하게 고려되며, 마감과 배치에서 이른바 '완벽한 균형점'에 대한 욕망과 자신감을 가감 없이 드러냅니다. 이것은 미리 계산되거나 정교하게 연출된 것이 아니며, 의미는 매 순간 새로운 것을 향해 나아갈 뿐 그 자체로 결정되거나 반복해서 재현되지 않습니다. 그동안 그가 레리치를 통해 비스포크 서비스에 집중하면서 하이데거와 메를로-퐁티 등의 말을 꾸준히 참조하여 문제제기를 해왔음을 떠올려보면, 그의 철학적 좌표가 대강 어디쯤에 위치해 있는지는 어렵지 않게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에서 그의 행위가 공예의 결과인지 또 다른 예술적 추구의 도상에서 발생한 파편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논의는 무의미합니다. 어쩌면 그러한 시도 역시 형식에 얽매인 사고의 결과일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삶은 예술을 모방하고, 물질 공예는 그것을 현재에 가능하게 하는 수단입니다. 모든 것은 하나의 오래된 이야기를 전하기 위한 장치에 지나지 않습니다. 

The twisted lines are dangling perilously in the air. At first glance, they seem to be falling straight down like a stream of water, but on close inspection you will see that they are floating in their own free trajectories, each with its own force. The freedom comes by agreement. They are too light to be ruled by gravity. The stress of the threads twisted together into yarn is greater than their weight. The world looks so different when the lens barrel is turned just a little. When the focal length grows shorter, more light is scattered. The umbilical cord shakes violently, even in air that is slower than a breath exhaled after being held in for as long as possible, so slow that it can’t actually be felt. Among us, only the most sensitive will notice the change and hold their breaths for a moment. In photographs, their world is suspended for a moment and revealed for a millisecond, but in the space of a few days, generations may have passed in that small world.

Think for a moment—how much deeper your thoughts and emotions might be if you could properly perceive microscopic changes at the right time. Ultimately, it seems emotions arise from a generous and active mind that is willing to look into another world. No feeling of inspiration shines when the time comes, like the sunlight. That is not to say that pleasure that immediately leads to action is worthless, but I seek abundance in a slightly different way. The edges of the thick, soft coat, the white basting thread that supports the internal structure, its innate strength and drape, the cool shine of the edges of the metal podium, the overlapping of the shadows formed on the clean wall by multiple rays of light coming from outside the frame. For some, this may be just the reproduction of a slice of reality. What greater meaning can be imbued in a coat that can be taken out of the closet right this moment? This is a complaint that could easily be made by those used to seeing exhibitions that simply string together fixed symbols with enlarged meanings. For example, the fact that the Lerici garment hanging here was made with a classical technique formed through history, and that there is no doubt about its value for preservation as craft. But does the perception of beauty or artistry lie solely in the realm of individual character?

In Kim Daechul’s work, It is indeed important to grasp the universal beauty accurately and properly. Therefore, the implicit integrity in determining the selection and processing of materials, and the decisions regarding small details, is carefully considered, and the desire to find the point of perfect balance and confidence in achieving this is clearly revealed in the finishing and arrangement. These things are not calculated or carefully designed beforehand nor are they continually reproduced. While focusing on bespoke tailoring at Lerici, Kim Daechul has constantly raised questions, citing Heidegger and Merleu-Ponty, so it is not hard to guess where his philosophical coordinates lie. However, it is meaningless to discuss whether his work is the result of craftsmanship or the fragments of some other artistic pursuit. Attempts to do so may come from the inability to break from formal thinking. A beautiful life imitates art, and material craft is the means to make that possible in the present. Everything is merely a device for telling an old story.

전시에 사용된 알레고리들을 일일이 나열하는 것에는 흥미가 없으므로, 보다 근원적인 사고방식을 살피기 위한 실마리를 설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선 그의 출발점이 상업 브랜드나 여타 예술가들의 행보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패션과 예술은 꽤 오랫동안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고, 따라서 많은 현대인이 이런 행태에 별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겠으나, 둘 사이의 피학적인 관계에 대한 김대철의 문제 의식은 레리치의 행동을 기존 브랜드의 그것과 구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지금까지 패션과 예술의 관계를 비판해 온 일반의 담론에는 '패션 자체가 시각예술의 일종'이라던가, '상업성 때문에 패션은 궁극적인 예술이 될 수 없다'던가, 그도 아니면 '서로의 발전을 위해 같은 이해관계에 놓여 있는 양자'라는 정도가 있었습니다. 이 구도에는 패션의 속물 근성과 예술 본연의 순수함이라는 다소 뻔한 도식이 전제되어 있으며, 예술을 통해 이미지를 개선하여 브랜드를 차별화하고 홍보하려는 금융자본의 마케팅적 의도와, 자본에의 접근을 갈망하는 아티스트의 욕망이 유착합니다. 이렇게 세련되고 정치적인 협업은, 직접 공방을 운영하는 독립적인 디자이너이자 성공한 제작자인 김대철이 진화해 온 방식이 아닙니다. 

레리치에서의 지난 18년 내내, 혹은 그보다 몇 년 앞서 세븐오에서부터, 그가 행함에 있어 일관되게 내비쳐 온 것은 완성에 대한 헌신과 집착에 가까운 숭배입니다. 식상한 이분법들 따위는 이미 신경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의 방식은 럭셔리 브랜드나 패션 비즈니스의 그것에 머물지 않았고, 그렇다고 현재와 유리되어 독선적인 고상함만 추구하지도 않습니다. 다만 자기학대적이고 고행적인 反비즈니스 방식을 취해 온 까닭은 그저 일관된 진정성을 향한 신앙에 가까운 강박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이런 서술은 이내 공예의 성질에 대해 떠올리게 합니다. 공예의 세계에서는 행한 만큼만 결과가 주어지며, 여기에는 요행이 있을 수 없습니다. 강력한 인과에 지배되므로, 행함에 있어 원칙과 도덕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런 환경이 자연스럽게 그의 사고를 현상학적 요체에 다다르게 했을 것입니다. 그는 순수 감각적인 방식으로 세계와 존재를 느끼는 예술가이고, 그 자신이 이미 체득하여 당연하게 보고 있는 현상들을 남들도 분명 알 수 있다고 믿습니다. 때문에 도저히 거짓된 것을 내놓을 수 없고, 그럴싸한 정도로는 만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들이 겪고 있는 공예의 시간이란 전혀 생산적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내가 가볍게는 '공예적 사고방식'이라고 부르는, 진정성에 대한 순전한 믿음과 고지식한 행함이란 오늘날의 비즈니스 측면에서 구닥다리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도덕률을 알지만, 행하지 못하는 인간"임을 수긍하고 재무제표에나 열정적으로 신경을 쓰는 것이 훌륭한 경영자로서의 태도일 수 있는 시대이기에 그렇습니다. 하지만 환원적 오류와 계층적 서열화의 교만함에 취해서는 끊임 없는 관념적 분절의 지옥에 머물 수 밖에 없으며, 도망친 그 어디에서도 천국을 만날 수 없게 됩니다. 

기꺼이 고행으로 그를 추동하는 것은 "핏줄에 희미하게 흐르는 오래된 삶의 기억"입니다. 김대철에게 있어 인간이란 별과 같은 물질에서 원래한 것입니다. 살과 별은 마찬가지로 우주먼지에서 비롯했으되,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고 다른 형태를 향해 의지적으로 나아간 결과입니다. 이때 모든 정보는 나름의 방식으로 생존하려 합니다. 돌은 불변함으로 정보를 간직하고, 나무와 사람은 세대에서 세대로 정보를 복제합니다. 물론 우주의 출몰과 그 아득한 순환이라는 코스모스적 시간을 상상해보면, 그것들의 생존 전략이란 가련하기 그지 없습니다. 그 정도의 시간을 이겨내는 것은 아무것도 없기 때문입니다. 우주적 관점에서 이 비천한 생에 약간의 의미를 발견해 본다면, 그저 주어진 시간 동안 주어진 역할을 하는 베케트적 의미일 것입니다. 부조리를 견뎌 기꺼이 정보를 - 김대철의 언어에 의하면 '아름다움을' - 생성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불멸을 탐하나 이룰 수 없는' 생명과 예술은 큰 틀에서 같은 의미와 목적을 가질 것입니다. 별이 인간이 되고, 인간이 별이 되는 시간의 크기를 이 생에 이해하려 욕심 부릴 필요 없습니다. 의미에 정합한 형태를 잉태하고, 주어진 이야기를 이어나는 것이 삶입니다. 자연법칙을 따르는 종교는 윤회와 인과로, 유일신을 따르는 종교는 구원과 원죄로 은유하는, 배교한 죄인일지라도 끊임 없는 배움과 끈질긴 사고를 통해 얼마든지 회복할 수 있는 일종의 겸허함이 또 하나의 실마리입니다. 

 

As I have no interest in listing one by one the allegories used in the exhibition, it would be better to establish clues for a more fundamental way of thinking. First,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his starting point has nothing to do with the movements of commercial brands or artists. Fashion and art have long been intertwined and perhaps many people today have no qualms about seeing them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But Kim’s critical view of the self-ab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an important factor in distinguishing what Lerici does from what other brands do. The general discourse criticizing the connection between fashion and art goes along the lines of “fashion itself is a type of visual art,” “fashion cannot be art because of its commercial nature,” or “both have an interest in each other’s development.” This mechanism presupposes the rather obvious scheme of fashion snobbery and the innate purity of art, as well as the collusion of marketing goals of capital to differentiate and promote brands through art and the artist’s desire to draw close to capital. Such sophisticated and political collaboration is not the method advanced by Kim Daechul, an independent designer and successful producer who operates his own studio.     

Over the past eighteen years at Lerici, or even going further back to his time at Seven O, everything he has done reflects a commitment to and reverence for perfection that borders on obsession. He does not seem to care about tired old dichotomies. His methods go beyond those of luxury brands or fashion businesses, but that does not mean he is removed from the present in pursuit of self-complacent loftiness. It is simply that his self-abusive and ascetic anti-business approach stems from an obsession with authenticity that is almost religious. This narrative immediately makes us think about the nature of craft. In the world of craft, the output is only as great as the input and there is no room for chance. Cause and effect is dominant, and principles and morality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what one does. In such an environment, his thinking naturally reached a phenomenological point. He is an artist who experiences the world and existence in a purely sensory way, and he believes that others can clearly see phenomena that he has already knows well and takes for granted. Hence, he is unable to offer anything false, and cannot be satisfied with something that seems just good enough. The time that such people put into their craft may seem totally unproductive. That which I call the “craft mindset”—sheer faith in authenticity and simpleminded work—may be old fashioned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today. That’s because we live in an era when being a good manager may mean taking a passionate interest in financial statements and accepting that one is a person who “knows the code of ethics but cannot abide by it.” But when you are drunk on the arrogance of restorative error and the hierarchical pecking order, you are caught in the hell of constant ideological division and will fail to find heaven no matter where you flee.

The thing that drives Kim Daechul to willingly take the path of asceticism is the “memory of old lives faintly flowing through the veins.” In his world, human and star are all made of same things. Though human flesh and the stars both originate from galactic dust, they are manifested by moving forward of their own volition with different forms and information. At the time, all information strives to survive in its own way. Stones retain information as immutability, and trees and humans replicate informati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Of course, if we imagine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the universe and the faraway cycle of cosmic time, their survival strategies could not be more pitiful. Nothing can surpass that amount of time. If we were to discover even the slightest bit of meaning in this humble life from a cosmic perspective, it would simply be a “Beckettian” meaning, that is, we play a given role for a given amount of time. Enduring absurdity, we willingly create information—or “beauty,” in the words of Kim Daechul. Therefore, in the big picture, art and life that “seeks immortality but cannot achieve it” have the same meaning and purpose. There is no need to try to understand in this lifetime the amount of time it takes for a star to become human and for a human to become a star. Life is about conceiving a form consistent with meaning and continuing a given story. Another thread is a kind of humility that can be recovered through constant learning and persistent thinking, though one may be a sinner who has turned from faith, metaphorically expressed as reincarnation and causality in religions that follow the laws of nature, and as salvation and original sin in religions that follow a single deity.

 

(1)
Eric R. Kandel, 『The Age of Insight: The Quest to Understand the Unconscious in Art, Mind, and Brain, from Vienna 1900 to the Present (2012)』 

우주와 미시세계를 오가는 관념의 망원렌즈를 통해 탄생한 이야기들은 생각보다 가깝고 선험적입니다. 가령, 이미 우리는 서로 다른 순환의 시점들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존재는 어떤 과정 중에 있으며, 매 순간 가장 완벽한 상태로 머무르기 위해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모든 정보는 시간에 취약하여 사라지기 쉬운 특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반드시 시작과 끝, 생과 별, 정점과 하강을 경험해야 합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위대한 예술품, 마이클 '에어' 조던, 게의 형태로 수렴하는 갑각류들, 타히티의 푸른 바다와 열대저기압, 골디락스 존에 위치한 '창백한 푸른 점'의 바이오스피어와 수십억년 내내 꿈틀대고 있는 지각, 식어가는 6,000K의 적색성까지. 존재는 각자 내재된 힘에 의해 정점을 향하고 있거나 이미 다다른 바 있으며, 언젠가 자신의 시간을 경험하며 반드시 낡아갈 것입니다. 김대철은 이 운명이야말로 언어로 철학하기 이전의, 가장 근원적이고 시적인 경험이자 "사유되기 이전에 지각되는 것"이라고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옷으로부터 탈거되는 시침실의 이미지는 분명 잉태와 출산을 우화하고 있으며, 이것이 우리에게 언제나 노화와 죽음을 떠올리게 하는 장치로 작동할 것입니다. 그러니까 마치 프란시스 베이컨의 푸줏간처럼 보이는 것도 무리는 아닙니다. 하나의 몸을 이리저리 해체하여 쇠꼬챙이에 걸면, 기능을 실행하는 각 부의 기관이 나타나고 세포들이 서로 관계하는 세부구조가 드러납니다. 이렇게 환원적인 해부학의 이미지가 가장 강렬하게 우리를 자극했던 특정 시기가 있었습니다. 에릭 캔델1)은 클림트와 주커칸들이 살롱에서 만나 통섭한 결과물을 새로운 시각으로 읽어내며 결정적인 영감을 제공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출생의 순간을 박제한 것은 삶을 찬양하기 위함이거나 죽음을 상기시키기 위함이 아닙니다. 신적인 관찰자와 메시지로서의 이미지를 제거하고 행위만으로 존재하는 관념적인 포토그래피가 있다면 한결 쉬웠겠지만, 여러분과 나는 어쩔 수 없이 기성의 언어를 가져다 나열하는 가장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만나고 있으므로, 이곳에서의 해석이란 형이상학적이고 분절적일 수 밖에 없겠습니다. 

만약 할 수만 있다면, 나는 그처럼 말할 수 없는 것, 의식할 수 없는 것, 사유할 수 없고 추상할 수 없는 어떤 것들을 여기에 드러내고 싶습니다. 그럴 수 없으므로 에둘러 쓰자면, 결국 관계성이야말로 이 모든 우화 너머에 도사린 근원적인 동력일 것이라 짐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애초에 오브제로서의 옷은 매우 독특한 위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구조 속에서 대상화되기도 하고, 구조 그 자체로서의 대상을 경험하기도 하며, 타자를 통해 재구축되기도 하는 것처럼, 오브제들은 나와 세계와의 관계를 통해 얼마든지 독립적인 존재로서 다양한 위상과 다층적 의미로 분화합니다. 그런데 옷은 다름 아닌 '살에 입는 것'입니다. 육화된 의식인 신체를 모방하여 감싸는, 제법 이상한 물物입니다. 즉각 인지되는 대상이자, 감정이입과 투사가 발생하는 관념 신체의 연장이자, 감각과 지각 그 자체가 일어나는 현상의 장으로서 기능합니다. 따라서 내-외부와의 관계를 새롭게 의식하는 가운데 오브제로서의 옷은 다방향으로 다면적으로 동시적으로 작동합니다. 이를 통해 김대철은 비단 물리적 대상물 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싼 행위와 순환적 시간, 사용자와의 관계와 그로부터 비롯되는 경계들, 그리고 그들의 세계 너머에까지 말하자면 구성작용을 수행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그는 오브제를 벗겨내고, 낡아갈 운명과 끈질기게 조우합니다. 이 강력한 의지가 형태를 부여하고, 현상 세계에 탯줄을 뻗어내고 있는 것입니다.

 

Stories born through the conceptual lens traversing the universe and the microscopic world are closer and more transcendent than they may seem. For example, we already share different points of circulation. Existence is in progress, and consumes energy to remain in the most perfect state at every moment. However, all information is sensitive to time and easily disappears. Therefore, one must experience the beginning and the end, life and death, the rises and falls. Great Renaissance art, Michael “Air” Jordan, crustaceans converging in the form of crabs, the blue sea and tropical cyclones of Tahiti, the biosphere of the pale blue dots in the Goldilocks Zone, the earth’s crust, which has been twitching for billions of years, and the 6,000K red star, which is gradually cooling. Through its own innate power, each entity is moving towards its peak or has already reached it, and will one day experience its own time and fade away. Kim Daechul seems to believe that this fate is the most fundamental and poetic experience, the thing that is perceived before it is thought about, before philosophy is turned into language.

Of course, the image of the basting room removed from the clothing context works as an allegory for conception and childbirth, and it will always be a device that reminds us of aging and death. So it is not far-fetched to say it looks like one of Francis Bacon’s butcher shops. When you dissect the body and hang it from an iron hook, the organs of each functional part appear and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ells and their connection to each other is revealed. There was a time when images of anatomical reduction provided the most intense stimulation. Neuroscientist Eric Kandel provided definitive inspiration by finding a new perspective in the outcome of Klimt’s encounter with Zucherkandl at a salon. However, preserving the moment of birth is not intended to celebrate life or remind us of death. It would be easier if conceptual photography existed as a divine observer that could remove images and leave only the act behind. You and I must meet in the most inefficient way by using a ready-made language, and interpretation is inevitably metaphysical and segmented.

If I could, like Kim Daechul I would like to reveal here things that we cannot say, cannot be conscious of, cannot think about, and cannot conjecture. Unable to do so, however, in vague terms, it is impossible not to assum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ntities is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behind the fables. As on object, clothing has a very unique status in the first place. Just as we are objectified within structure, sometimes experience the structure itself as the object and are reconstructed through others, objects as independent entities can be differentiated into various states and multi-layered meanings via my relationship with the world. But clothing is something that is worn on the skin. Indeed, it is rather strange matter that envelops the body, imitating the body as the carnation of consciousness. An immediately recognizable object, it is an extension of the conceptual body where emotions are immersed and projected, functioning as a phenomenal setting where perception and sensation occur. Therefore, while newly perce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clothes as objects operate simultaneously in multiple directions and multiple ways. As such, we can see that Kim Daechul is not only working on the component effect of physical objects, but also the surrounding actions and circulatory time, the relationship with the user and the boundaries thereof, and beyond their world. He strips the objects bare, and persistently comes up against their fate to age. Such powerful intentions give them shape and extends the umbilical cord into the world of phenomena.

 

  • KORKOR
  • ENGENG
Suggested Reading
형태의 종점
The Final Destination of Form
몸의 이미지가 자본으로 기능하는 시대, 모두는 미디어에 전시되어 실체 없는 삶을 얻는다. 실재實在보다 더 실제實際적인 이미지들이 원본을 대체하고, 원본의 기억은 사라진다. 이제 사람은 있는 그대로가 아닌 다른 무엇이 되기 위해 옷을 입는다. 타인의 욕망에 의존한 채, 사회적 기준에 알맞은 모습이 되기 위해 스스로 몸을 재단하고 기획한다. 나르시시즘의 미디어 속에 갇힌 우리는 거울에 둘러싸인 인형이나 다름없다. 내면의 자의식과 무의식적 욕망 사이에서 불편함이 생기면, 자의식은 전시된 자신의 몸에 대한 자각을 갖게 된다. 이것은 잘 드러나지 않는 비밀스러운 정신의 일면이다. 부조화를 감지하고 정체성과 의미를 복원하려는 이 작은 움직임이 지금껏 우리의 인간성을 지켜왔다. 그러니 우리에겐 이미지 너머의 현실을 상기하고 실재를 기억하려는 작은 시도가 필요할 뿐이다. 한 번의 바느질은 순간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어떤 감각일 것이다.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본래적 방법에는 실재에 대한 기억이 서려 있다. 그러니 이 과정은 간소화되지 않는다. 과정을 따른 내면에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순간적으로 점멸하는 바느질이 감각을 일으킨다. 만드는 이는 감각을 몸에 각인하며 지속적으로 실재를 마주한다. 손끝에 남은 감각은 다음 감각을 인도하는 선線이다. 복잡한 의도나 꾸밈없이. 감각이 감각을 따라 이어진다. 바느질의 속성은 기능하는 것이지 보이기 위한 것이 아니다. 바느질이 보여지는 것으로 기호화하면 옷의 본질적 가치는 훼손된다. 기호는 옷의 외양外樣이고 기능은 내부의 의미이다. 기호는 기능을 모방할 뿐, 실재가 아니다. 갖지 않은 것을 가진 척하는 것이다. 반대로 기능은 의미를 가지지만 그 의미를 숨기려 한다. 전자는 <없음>에 속하고 후자는 <있음>에 속한다. 손으로 옷을 만드는 일은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의 반복이다. 이렇게 일백여 시간이 지나면 하나의 형태가 된다. 오염된 의지들이 제거된 상태, 이른바 원형이다. 원형은 의도적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시간이 다듬고 남겨준 대로 존재하는 것이다. 외양의 것들이 시간에 의해 사라지고, 모든 형태는 스스로 자기의 모습으로 돌아온다. 자기로서 존재해야 하는 모습, 곧 형태의 종점이다. 시간을 견디는 바느질이란 형태의 종점에 도달하기 위한 길이자 그 기억을 상기시키는 재료일 뿐, 그 자체로 달성해야 하는 목적이 아니다. 옷은 우리 존재의 모방이다. 내 몸에 가장 가까운 형상을 한 복제이자 나의 실재를 상기시키는 오브제다. 그러나 시간에 따라 자기 모습을 찾아간다는 점에서 우리는 다르지 않다. 길을 잃지 않기 위해, 그리고 실존하기 위해, 우리는 <있음>을 감각하고 기억해야 한다. 이 물리적 감각은 흩어지기 직전의 인간성을 현실에 잡아두는, 그러니까 정신의 닻이다. 우리는 다시 이곳으로 돌아오고, 회복을 위한 실마리를 얻는다.
In the era where an image of body functions as capital, everyone is displayed in the media and obtains unsubstantial life. Images that look more real than the existing ones substitute the original, and the memory of the original fades away. Today, people wear clothes not as is, but to become something. Depending on others’ desire, they tailor and design themselves to fit into a social standard. Imprisoned in the media of narcissism, we are merely dolls surrounded by mirrors. When discomfort arises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unconscious desire from within, self-consciousness begins to realize a displayed body of oneself. This is a side of unexposed, secretive mind. This little movement trying to realize disharmony and to recover identity as well as meaning has protected our humanity to this day. Thus, we need to try to remember the reality over images and existence. Sewing is some kind of sense that temporarily appears and disappears. The memory about existence is left in the original method from the old days. So this process is not simplified. It is because inner side that followed the process is what matters. Instantaneously flickering sewing arises the sense. A creator engraves the sense to the body and consistently faces the existence. The sense left at the tip of fingers is a line leading to the next sense. Without complicated intention or decoration, sense is followed by sense. The attribute of sewing is to function, not to be seen. When sewing is symbolized as something to be seen, the intrinsic value of clothes is damaged. Symbolization means the appearance of clothes and function refers to the inner side. Symbolization only imitates function, it does not exist. It is as if you pretend to have when you actually do not have. In contrast, function has its own meaning, but it tries to hide it. The former belongs to <nonexistence> whereas the latter belongs to <existence>. Making clothes with hands is a repetitive process of confirming <existence>. After hundred hours, it becomes a form. A state without polluted will, it is so-called the original form. The original form cannot be made deliberately. It exists as how time repaired it and left it. The outward appearance disappears along with time and every shape returns to its original form. The form of which one should exist as oneself, it is the final destination of form. Sewing that bears the time is a road to reach the final destination and a medium to remind that memory, not a purpose to achieve. Clothes are imitation of our existence. It is a replica of the closest form of my body and an objet that reminds of my existence. However, we are not different in terms of finding ourselves as time goes by. To not be lost, but to exist, we must sense and remember <existence>. This physical sense is a mental anchor that holds humanity, which is about to scatter, in the real world. We come back to this place and earn a hint for recovery.
  • KORKOR
  • ENGENG
Ascending Form
형태의 상승
형태의 상승
Ascending Form
무한(無限)은 시간의 순환 속에 내가 있다는 감각으로 시간이 흐르지 않고 존재한다는 인식이다 반복하는 죽음과 재생에 인간의 본질이 유전한다 그것은 생명과 관계가 있다 자식을 만들 듯, 순환의 일부가 되려는 감정 인간의 본성은 자기 자리를 찾으려 하고 여정에는 의미가 있다 핏줄에 희미하게 흐르는 오래된 삶의 기억이 생명한다 진실한 것들이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오는 것임을 암시하는 감각이다 이것은 특성이 없다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가늠할 수도 없다 시간이 새긴 근원적 감각 자기 주장이 없는 보통의 상태이다 몸을 쓰는 공예는 내부의 감각을 느끼고 발견하는 과정이다 공예란 인간에 닿으려는 것 아닌가 이 또한 자식을 낳고 질서의 일부가 되려는 본능과 같다 모든 부분이 맥락에 정렬하고 평범함이 절정에 이르면 연결의 관계는 풍성해지고 이내 그것은 형태를 넘어 사람의 일부가 된다
Infinity is, The feeling of being in the cycle of time The sense that time is not passing but simply existing While the essence of human beings is passed on through repeated death and rebirth This is related to life Like making a child, that feeling of becoming part of the laws of nature Human nature seeks to find its place And the journey is meaningful Old memories of life flowing faintly through the veins come to life It is the sense that the truth is coming Not from the outside but from within It has no distinguishing features It is impossible to guess when and how it was made A primeval sensation engraved with time An ordinary state that does not assert itself Craft work that uses the body Is the process of feeling and discovering the inner senses For the purpose of craft is to draw near and reach out to humans This too is instinctive, like having children and becoming part of the natural order When all parts are aligned in context And ordinariness reaches a peak Connections between related parts grow richer And finally surpass 'the form' to become a part of the human being 
  • KORKOR
  • ENGE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