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RICI

Daechul: Your work deals with many different elements at the same time. It employs various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such as architecture and space, the meaning of concept and place, text, color, and light. On the other hand, it does not express messages, critical awareness, or feelings, but hides them in secondary metaphors so that they cannot be found. Of course, there is excellent text and critique that enables the context to be guessed, but sometimes I do not have the code necessary to decipher them, making it impossible to find the answer. I suspect that even this was intended in the first place. I am curious about the moment of discovery and “rupture,” which is the idea behind your work.    

Liam: There is no simple moment of discovery or rupture. My work develops from a complex core of ever evolving ideas - often with very precise concepts. A final art works can emerge from any point in the thinking process - it is not necessarily an end point. It might be the start of something. I exist in a material reality. I always have a reason to make something. The art work always emerges in relation to a specific context. It is the development of an intellectual investigation which feeds back into further investigations. The feeling of a code that you talk about is a result of the fact that I am not interested in making art that is a simple illustration of an idea. I 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ic intentions and results needs to be broken and it is at this break point where we can find the potential for art that is not merely illustrative of an idea or didactic in the ways it shows you what you already know. My work is more about rupture than discovery. I am not interested in answers but in new ways of posing questions about what art could be and where it sits in relation to other physical structures in the world. I am interested in “the semiotics of the built world”. In other words, an ongoing investigation into how meaning is created and how meaning is communicated - particularly in relation to what human beings build around them.

대철: 당신의 작업은 굉장히 많은 요소를 한꺼번에 다루고 있다. 건축과 공간, 장소의 의미나 관념, 텍스트, 색, 빛, 위치, 동선 등 다양한 예술적 표현들을 사용한다. 반면 메시지, 문제의식이나 감정은 표출하지 않고 부차적인 은유 속에 숨겨두어 찾을 수 없게 만든다. 물론 맥락을 짐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훌륭한 텍스트와 비평이 있지만, 종종 해독에 필요한 코드가 내게 없어 전혀 풀어낼 수 없는 경우도 생긴다. 어쩌면 이조차도 의도되었을 수 있다는 의심이 드는데. 작품 구상의 배경이 된 파열rupture 과 발견의 순간이 궁금하다.

리암: 단순한 발견이나 파열의 순간은 없다. 내 작업은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아이디어(종종 아주 분명한 개념일 때도 있다)로부터 발전하곤 한다. 최종적인 작품이란, 이렇게 사고하는 과정의 어디에서든 나올 수 있다. 그것이 꼭 결론 끝에 나올 필요도 없고, 또 다른 시작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는 물질적 현실에 존재한다. 내겐 항상 뭔가를 만들고자 하는 이유도 있다. 작품은 언제나 분명한 맥락과의 관계에서 드러나는데, 이는 끝없는 피드백을 불러 일으키는 지적 탐구의 진전이기도 하다. 당신이 언급한 코드의 감각은, 내가 단순히 아이디어만을 형상화하는 예술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나는 예술가의 의도와 그 결과로서의 작업이라는 관계는 깨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바로 그 지점에서 우리는 예술의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 가능성이라는 것이 단순히 아이디어나 어떤 교훈을,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방식으로 보여주는 행위 정도는 아닐 것이다. 나의 작업은 발견보다는 파열에 대한 것이다.

나는 답을 구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술이 무엇일 수 있는지 묻는 새로운 방법을 찾는 것이고, 다른 물리적 구조체와의 관계 어디쯤에 예술이 위치하는지 알아내려는 것이다. 나는 “만들어진 세계의 기호학”을 탐구하고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의미가 어떻게 생성되고 또 어떻게 전달되는지, 특히 인간이 자신을 중심으로 만들어 내는 의미에 흥미를 느낀다.

Daechul: I often discover that there are "no boundary" in your work. At times it remains as ambiguity but perhaps this can be extended to the realm of uncertainty. It may be another order that we have not yet consciously interpreted, for the possibility of its existence has nothing to do with whether we understand it or not. 

"No boundary" is a subject that I have thought about for a long time. Since the start of mass production, fashion has been a prison of thought, as if caught in a chicken coop. Production required standards and the industry had to produce clothes of certain styles and stereotypes to some degree. I believe that for ordinary people who have complied with the trends of contemporary consumer fashion, a realm of aesthetics impossible to imagine, that is, a deliberately hidden realm, has emerged. Fashion now rules so that everyone accepts the given type and perceives it to be the most beautiful of its time. Setting boundaries and making distinctions entraps people’s thoughts and aesthetics and covers their eyes so that they cannot see. 

You have your own aesthetic language. You are a person who creates, curates and engages in self-criticism. While working on your clothes, I began to wonder what meaning this single jacket would hold for someone like you. What looks beautiful to you? What do you think makes a beautiful garment?   

Liam: I don’t think very much about what makes something beautiful. And the philosophy of aesthetics is complex. The pursuit of a simple concept of beauty only leads to branding and kitsch. I am interested in time and context. So I am always watching for the way a form or a color or an idea operates in relation to “when” and “where”. This is how we can come to some kind of understanding of what moves us or what draws us to a special combination of things and people. For me there is only clothing “in and out of context”. What I mean is, a garment is special when it can exist in and outside of its own time. It might carry elements from the past - in terms of craft - that cannot be directly seen - they are part of its structure. Sometimes what cannot be seen immediately is what makes something “beautiful”. The structuring of something and the way it is made affects everything about an object. At other times i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rment and the individual - but most important for me i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group. This is what I like about your work. The way in which it is hard to immediately pin down where and when it is from. Fashion can be easily dated. That’s what is interesting about it. But I think you are more like time travelers, playing with time as much as you are playing with form.

대철: 리암의 작업에서 나는 '경계 없음'을 발견하곤 한다. 때론 그저 모호함으로 남기도 하지만, 어쩌면 불확정uncertainty 의 영역으로 확장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인지에서 아직 해석되지 않은 또 다른 질서일 수도 있다. 그 존재가능성이란, 우리의 이해 여부와는 상관이 없는 것이니까.

'경계 없음'은 내가 오랫동안 고민해 온 주제이기도 하다. 대량생산 이후의 패션은 마치 닭장과 같은 생각의 감옥이다. 생산은 표준을 필요로 했고, 산업은 시즌별로 특정된 스타일과 고정관념을 적당한 수준에서 생산해야 했다. 이렇게 현대적 소비패션의 유행에 순응한 보통의 사람들에게는 도저히 상상이 불가능한 미학의 영역, 다시말해 의도적으로 감춰진 영역이 생겨났다고 본다. 이제 패션은 모든 사람이 주어진 형식을 받아들이고, 이를 동시대에 가장 뛰어난 아름다움으로 인식하도록 지배한다. 경계와 구분짓기가 사람들의 생각과 미학을 가두고, 볼 수 없게 눈을 가리는 것 같다.

당신에게는 자기만의 미학언어가 있다. 당신은 직접 창작하고, 큐레이션하고, 스스로 비평하는 사람이다. 이번에 리암의 옷을 작업하면서, 나는 이 한 벌의 자켓이 당신 같은 사람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지 궁금했다. 당신은 어떤 모습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가. 당신에게 아름다운 옷이란 무엇인가.

리암: 나는 무언가를 아름답게 만드는 것에 대해 별로 생각하지 않는다. 미학의 철학이란 복잡하고, 단순한 아름다움의 추구는 그저 브랜딩과 질 낮은 예술품kitsch 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보다는 시간과 맥락에 관심이 있다. 형태나 색, 아이디어가 “언제, 어디서”와 같은 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항상 주시하는 편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무엇이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지, 또는 무엇이 우리를 사물과 사람의 특별한 조합으로 끌어 들이는지에 대한 일종의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

나에게 옷은 맥락의 여부가 중요하다. 의복은 그 시대를 뛰어넘어 존재할 수 있을 때 특별하다. 옷은 과거의 요소를 간직할 수 있다. 이를테면, 바로 보이지 않는, 공예적 구조의 일부 같은 것 말이다. 때로 그런 볼 수 없는 것들이 무언가를 “아름답게" 만든다. 오브제에 있어서 그것의 구조나 만들어지는 방식은, 그 모든 것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보통은 의복과 개인 간의 관계를 다루겠지만, 지금 중요한 것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다. 이것이 내가 당신의 작업에 있어 좋아하는 부분이다. 언제, 어디서 왔는지 즉시 파악하기 어려운 방식 말이다. 패션은 그 시대를 쉽게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물론 그 또한 패션의 흥미로운 점이긴 하지만, 나는 당신이 형태 만큼이나 시간을 가지고 노는 시간여행자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Daechul: It is said that in Korea, the word eolgul, meaning face, referred to the whole body until the 16th century. There are several theories on the etymology of this short, two-syllable world. I like the theory that two words of one syllable each were joined together (eol + gul) to mean “shape of the soul.” After all, the face is a person’s identity. But when it comes to the formation of the face alone, there are only tiny differences, in the range of micro millimeters. It is amazing that the combination of those subtle differences distinguishes seven billion identities.  

We consider ourselves to be unique, but in fact “I” never really reveal myself as I really am. To form relationships, it is necessary to express oneself externally and in such cases one’s appearance, expressions, voice and the content of one’s words are all displayed to construct “I.” In this process, I believe that the subtle textures and shapes of clothing, which comprises ninety percent of the visual surface, plays a much larger role than expected. That is, dressing oneself is the process of bringing to the surface the “I” that lies within, with exactly the same concentration. 

This concept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is project. Faced with Liam Gillick’s “shape of the soul” we tried to capture his aura and bring it out in the garments. For various reasons, we could not make the final fitting and the clothes were sent to New York. I can’t help wondering if the clothes were finished properly. 

Liam: We always knew that I would not be able to have a final fitting in person because of the Covid-19 pandemic, so you proceeded to work within that understanding and took some risks. It could have been a big problem! But that’s why our first conversations were so intense and detailed. We all knew that there would be a disruption to the usual processes. I think that what you produced absolutely achieved what we discussed in Seoul. I told you that I wear a suit jacket every day. I told you some things about the way I use my clothes. We talked a lot about ideas and life and decisions and what arrived in New York exceeded my high expectations. It is a wonderful jacket. The form makes it perfect for wearing all day and for all my artistic activities - drawings, walking, reading and drinking coffee. I am not sure anyone would want to see the “shape of my soul”. But what they can see is something much more subtle and maybe interesting. The jacket is an enhancement. An elevation of a form to something “out of time”. It is hard to tell when and where this garment might have been produced. And it only looks good on me - which is a compliment to you. Most importantly, I don’t think it is a pretentious piece of clothing. I don’t want to look like my clothes are wearing me. There is an equality or bal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y body and this jacket. We are melded and bonded and make sense together.  

Daechul: Finally, what it was like working with Lerici on this project?

Liam: Educational, enlightening, and extremely professional. From the beginning it was a real experience, at a time when so many experiences are cynical. I like to be involved in something that address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t the same time.

대철: 한국어에서 '얼굴'이란 단어는 16세기까지 몸 전체를 가리키곤 했다고 한다. 이 짧은 2음절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몇 가지 해석이 있는데, 나는 1음절의 두 단어가 합쳐져 'shape of soul'을 뜻한다는 설을 좋아한다. 그렇다, 얼굴은 정체성이다. 그런데 얼굴의 조형만을 놓고 보면, 고작 마이크로 밀리미터 수준의 아주 미세한 차이들이 모여있을 뿐이다. 그 미묘한 차이의 조합이 70억개의 고유한 정체를 구분짓는 것은 경이롭지 않나.

우리는 스스로를 고유하다고 여기지만, 사실 원래 '나'는 있는 그대로 드러나는 법이 없다. 관계를 맺기 위해 우리는 '나'를 외부로 표현해야 하는데, 이때 외모와 표정이, 목소리와 말의 내용이 표출되어 '나'를 구성하게 된다. 나는 이 과정에서 시각적 표면의 90%를 차지하는 옷의 미묘한 텍스쳐와 형태가, 생각보다 훨씬 큰 역할을 한다고 믿는다. 다시 말해, 옷입기란 내 안에 있는 '나'를 내 표면에까지 정확히 같은 농도로 연결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이 개념이 이번 옷 만들기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우리는 리암의 ‘shape of soul’을 마주하고 그 분위기를 옷에 연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여러 사정으로 최종 피팅을 하지 못하고 뉴욕으로 옷을 보냈는데, 리암의 옷이 정확하게 완성되었는지 궁금하다.

리암: 판데믹으로 인해 최종 피팅을 할 수 없다는 건 기정 사실이었고, 당신은 그 가운데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하기로 했다. 어쩌면 큰 문제가 될 수 있었지만, 그렇기에 우리의 첫 대화가 그렇게 강렬하고 상세했던 것 아니겠나. 우리는 일반적인 프로세스를 거치지 못할 것을 알고 있었다.

나는 당신이, 우리가 서울에서 논의한 바를 완벽하게 이뤄냈다고 생각한다. 나는 매일 슈트 재킷을 입는다고 말했고, (작업하는 데 있어서) 옷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몇 가지를 설명했다. 우리는 아이디어와 삶과 결정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뉴욕에 도착한 옷은 나의 높은 기대치를 넘어섰다. 이것은 정말 훌륭한 재킷이다. 하루 종일 착용하기에 완벽한 형태를 지녔고, 나의 모든 작업 활동, 그러니까 걷고, 그리고, 읽고, 커피를 마시는 모든 일과에 매우 적합했다.

누가 나의 “shape of soul”을 보고 싶어 할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그들이 보게 될 것은 분명 훨씬 더 미묘하고 흥미로울 것이다. 이 재킷은 향상enhancement 이다. “시간을 초월”한 어떤 형태의 상승이다. 이 옷은 언제, 어디서 생산되었는지 가늠하기 어렵다. 또, 오직 내가 입었을 때에만 좋아 보인다, 이 표현은 당신을 향한 찬사다. 이건 가식적인 옷이 아니고, 내겐 그 사실이 가장 중요하다. 옷이 나를 입고 있는 것처럼 보여선 안되기 때문이다. 내 몸과 이 재킷의 관계에는 평등이랄까, 균형이 있다. 우리는 융합되고 결속되며, 서로 이해하기에 이른다.

대철: 레리치에서의 경험은 어땠나.

리암: 교육적이고, 계몽적이었으며, 극도로 프로페셔널 했다. 많은 경험들이 냉소적일 수 있는 이 시대에 시작부터 진정한 경험을 했다. 나로서는 과거, 현재, 미래를 동시에 다루는 일에 참여한다는 점이 가장 좋았다.

  • ENGENG
  • KORKOR
Suggested Reading